20장
- 소요가 그치매 바울은 제자들을 불러 권한 후에 작별하고 떠나 마게도냐로 가니라
- 그 지방으로 다녀가며 여러 말로 제자들에게 권하고 헬라에 이르러
- 거기 석 달 동안 있다가 배 타고 수리아로 가고자 할 그 때에 유대인들이 자기를 해하려고 공모하므로 마게도냐를 거쳐 돌아가기로 작정하니
- 아시아까지 함께 가는 자는 베뢰아 사람 부로의 아들 소바더와 데살로니가 사람 아리스다고와 세군도와 더베 사람 가이오와 및 디모데와 아시아 사람 두기고와 드로비모라
- 그들은 먼저 가서 드로아에서 우리를 기다리더라
- 우리는 무교절 후에 빌립보에서 배로 떠나 닷새 만에 드로아에 있는 그들에게 가서 이레를 머무니라
- 그 주간의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바울이 이튿날 떠나고자 하여 그들에게 강론할새 말을 밤중까지 계속하매
- 우리가 모인 윗다락에 등불을 많이 켰는데
- 유두고라 하는 청년이 창에 걸터 앉아 있다가 깊이 졸더니 바울이 강론하기를 더 오래 하매 졸음을 이기지 못하여 삼 층에서 떨어지거늘 일으켜보니 죽었는지라
- 바울이 내려가서 그 위에 엎드려 그 몸을 안고 말하되 떠들지 말라 생명이 그에게 있다 하고
- 올라가 떡을 떼어 먹고 오랫동안 곧 날이 새기까지 이야기하고 떠나니라
- 사람들이 살아난 청년을 데리고 가서 적지 않게 위로를 받았더라
오늘 본문에서 한 사건이 나오는데 그 사건은 하나님이 의도하셨음을 보게하신다
바울이 '밤중까지'계속 말씀을 전하는 상황속에서 한 청년이 졸기 시작하였는데
바울은 그 때 강론하기를 '더 오래'하였다.
그리고 그 청년을 살린 후 '오랫동안 곧 날이 새기까지' 이야기를 하고 떠났다.
그리하여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살아난 청년으로 말미암아 큰 위로를 얻었다.
하나님은 말씀의 역사를 위해서 이렇게 준비하신다.
밤중까지,더오래, 오랫동안 이러한 단어들이 하나님이 의도하셨음을 느끼게 해주신다.
물론 평소에도 바울은 복음을 이러한 삶으로 전했을 것이지만 성경에 이러한 표현이 자주 등장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아 의도하셨음이 드러나는 것이다.
그리고 결과 또한 그곳 사람들이 이일로 말미암아 위로를 얻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더욱 그러하다.
어쩌면 그들에게는 말씀과 더불어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실제로 경험할 필요가 있었던게 아닌가 싶다.
바울 역시 전도여행을 하는 과정속에서 여러 방해가 있었고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한 자들에게도 실제적인 핍박이 있었을텐데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실제로 경험함으로 말미암아 내가 믿는 그 하나님을 더욱 확신하게 되었을 것이다.
하나님은 이처럼 우리의 삶의 실제속에서 역사하신다.
오늘 내 삶속에서 역사하신다.
평범해보이는 일상속에서 말이다.
이것을 잊지 않고 그 하나님과 교통하는 하루가 되어지길...
그래서 순종하는 하루가 되길 소망한다!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문제 앞에서의 중심[행20:25 - 35] (0) | 2015.06.24 |
---|---|
나는 성령의 사람인가...?[행20:13 - 24] (0) | 2015.06.23 |
사명에 붙들린 삶[행19:32 - 41] (0) | 2015.06.20 |
끊임없는 시험의 연속을 인지하라[행19:21 - 31] (0) | 2015.06.19 |
말씀의 훈련이 필요합니다 [행19:8 - 20] (0) | 2015.06.18 |